기침과 가래가 생기고 호흡이 곤란하거나 발열, 오한까지 동반된다면 폐렴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는데요. 경미한 폐렴인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도 하고, 피로감, 두통, 설사까지 폐렴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이 글에서는 폐렴 증상과 폐렴 원인, 진단 방법부터 치료 방법까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 폐렴이란?
2. 폐렴 원인은?
3. 폐렴 증상은?
4. 폐렴 진단 방법
5. 폐렴 치료 방법
폐렴이란?
폐는 우리 몸에 필요한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생명 유지에 중요한 기관입니다. 폐렴이란 말 그대로 폐(허파)의 폐포(공기주머니)에 염증이 생기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서 세기관지 이하 폐조직에 염증이 발생하고 발열, 기침, 가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폐렴 원인은?
폐렴 원인은 보통 흡입으로 인하여 바이러스, 세균, 진균(곰팡이) 등이 몸에 들어오면 발생하게 됩니다.
- 폐에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들어오게 되면 폐에 염증이 생깁니다. 일반적으로는 우리 몸에 있는 면역체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이겨내는데 면역력이 약해지면 이것을 이기지 못하고 염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 드물게는 화학 물질이나 구토물과 같은 물질을 흡입이 폐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폐렴은 음식물이나 물, 기침 등으로 타인에게 옮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렴 증상이 보이면 마스크를 쓰고, 음식물을 같이 먹지 말아야 합니다.
- 만성질환자나 영유아, 노약자, 감기, 암, 흉부 수술 환자 등에게 폐렴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대표적인 폐렴 원인은 폐렴구균성 폐렴인데 이것은 인플루엔자나 홍역의 합병증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예방 접종을 하게 되면 폐렴 구균 예방에 효과적이고 한 번 접종하면 보통은 평생 면역이 생깁니다.
폐렴 증상은?
폐렴구균성 폐렴 증상은 대개 급성으로 발병합니다. 오한, 고열, 기침, 피가 섞인 객담(시간이 지나면 녹슨 색으로 변함), 숨을 쉴 때 더 아프고 때로는 어깨나 복부, 옆구리로 칼로 찌르는 듯한 흉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때로는 오심, 구토, 설사, 황달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폐렴은 감기 증상과 유사한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감기보다 증상이 심각하게 느껴진다면 폐렴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고열과 오한이 생깁니다.
체온이 수 시간 안에 40℃로 올라가게 됩니다. 고열에 따른 오한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특히 영유아 같은 경우는 열이 38℃ 이상 오르고 아이가 축 처진다면 바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기침, 가래가 심해집니다.
폐렴 증상으로 기침이나 마른기침을 하게 됩니다. 초기 가래는 녹슨 색깔처럼 보이나 점차 누렇게 변하게 됩니다. 나중에는 고름 섞인 점액 농성 객담으로 바뀝니다. 이 객담은 내뱉기 힘들 정도로 끈적이는 상태가 됩니다. - 숨을 쉬기가 힘들어집니다.
폐렴으로 폐의 기능이 저하되어 호흡이 가파르거나 호흡이 안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산소가 부족해져서 저산소혈증이 생기기도 하고, 입술이나 피부 등이 푸른색을 띠는 청색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가슴 통증이 발생합니다.
호흡이 어렵고 기침을 하게 되므로 가슴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폐렴 증상은 개인에 따라서 그 증상이 상이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폐렴 진단은?
폐렴 진단은 증상과 징후 및 배양 검사를 통해서 확인하게 됩니다. 간단하게 흉부 X-ray 사진으로 폐렴 의심 소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폐렴 이외에 다른 호흡기 질환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T) 등의 검사를 실시하기도 합니다. 확실한 폐렴 진단을 위해서는 객담 배양 검사, 민감성 검사, 혈액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폐렴 치료 방법은?
증세가 가볍고 통원이 가능한 경우에는 폐렴이라고 해서 반드시 입원 치료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면역성이 떨어지는 소아나 노인, 환자, 당뇨병, 알코올 중독자, 호흡이 곤란하거나 증상이 심한 환자라면 입원 치료를 권유합니다. 폐렴은 원인균에 따라서 항생제를 투약하여 치료합니다. 적절한 항균제를 사용하였다면 수일 이내에 폐렴 증상과 X-ray 상 소견이 호전됩니다. 보통은 10-14일 정도가 지나면 완치가 되지만 3주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폐렴 증상과 진단, 치료 방법까지 폐렴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렸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찰이 최우선이므로 병원에 가서 진료받을 것을 권해드립니다.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삼덩굴 효능(한삼덩굴 효능)과 환삼덩굴차 먹는법 총정리(율초) (0) | 2022.06.10 |
---|---|
파라인플루엔자 증상과 치료 방법은? (0) | 2021.11.04 |
건강한 다이어트 식단! 살이 빠지는 식습관은? (0) | 2021.10.29 |
비타민 D 부족 증상과 하루 권장량 알려 드려요. (0) | 2021.07.21 |